IT 유튜버 아이폰 15 프로, 프로 맥스 언박싱 후기

많은 한국 IT 유튜버들이 아이폰 15 프로와 프로 맥스를 해외 직구해서 언박싱 영상을 올리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자주 언급되는 내용들, 특히 꼭 알아둬야하는 아이폰 15 프로 맥스 후기가 있다. 디자인과 내구성, 무게 등 티타늄과 관련된 이슈들이다.

티타늄 재질

무게 감소가 정말 많이 체감된다. 아이폰 15 프로는 184g, 아이폰 15 프로 맥스는 222g으로 전작 대비 20g과 34g씩 감소했다. 들었을 때 체감 엄청 큼. 무게 감소했다는 점에서 티타늄의 장점이 와닿는다.

스테인리스 스틸 → 티타늄으로 변하며 무광, 까슬까슬한 촉감으로 바뀜. 무광은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테두리가 둥글둥글해지며 그립감 좋아진 것은 공통된 의견.

지문은 많이 묻음. 그냥 티타늄 재질이 유분을 흡수하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만지는 족족 지문이 묻고, 색도 살짝 변하는 느낌이 든다. 다만 어차피 케이스 낄 것이기 때문에 문제는 없음

오히려 디자인과 색감이 너무 이뻐서 언박싱 당시의 단점은 묻히는 듯. 디자인 정말 이쁘고 가볍기 때문에 당장 구매하고 나면 티타늄 변색 이슈는 와닿지 않는다.

액션 버튼

과거에는 무조건 무음만 됐기 때문에 직관적이었음. 하지만 지금은 뭘 설정하냐에 따라 기능이 달라져서 직관성은 떨어짐. 내가 뭔 기능 설정했는지 기억만 잘 하면 문제없을 듯

아쉬운 점은 짧게 누를 때, 두 번 누를 때, 길게 누를 때에 따라 달라지도록 액션 버튼 커스터마이징이 됐으면 함. 길게 눌렀을 때만 작동해서 은근 사용이 불편함. 오작동을 염려했겠지만 사용성 면에서는 불편하다.

다만 여러 기능 옵션 제공한 것은 좋다.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 인물 모드 등 디테일하게 설정할 수 있음.

카툭튀 비교

카툭튀 비교

아이폰 15 프로 맥스가 아이폰 14 프로 맥스보다 더 카메라가 툭 튀어나와있음. 카툭튀가 더 심하다.

아이폰 14 프로 맥스와 15 프로 맥스 베젤 비교

베젤 및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는 크게 체감되는 것 없고, 베젤 얇아진 것도 단독으로 보면 느껴지지 않는다. 옆에 아이폰 14 프로 맥스 놔둬도 크게 차이가 느껴지지 않음.

USB – C타입

USB C타입으로 바뀌며 호환성이 좋아졌다고는 하지만 당장 체감 안 됨. 왜냐면 기존에 쓰던 모든 애플 제품은 라이트닝 제품이거든. 앞으로 모든 제품을 USB C타입 에어팟 아이패드 등으로 바꾸지 않는 이상 나는 몇 년간 라이트닝 케이블을 들고 다녀야한다.

고스트현상 여전하다

아이폰 15 카메라 고스트 현상

아이폰 15 프로와 프로 맥스로 넘어오며 고스트 현상이 개선됐다고 하는데, 별로 체감 안 됨. 똑같이 고스트 현상이 보인다.

하지만 애초에 아이폰으로 사진 찍으면서 고스트 현상을 마주한 적이 별로 없어서 크게 문제로 느껴지진 않음. 오히려 IT 전문 유튜버들이나 전문 사진가들만 느껴지고, 일반인들은 고스트 현상 별로 느끼지 못할 듯.

카메라 성능

3배 줌에서 5배 줌으로 성능이 좋아졌다고는 하나 애초에 연예인 볼 때 빼고는 3배 이상의 줌을 쓰지 않아서 크게 와닿지 않음. 물론 연예인을 자주 보러 간다거나 콘서트 자주 간다면 반길 기능일 듯.

3D Mark Wild Life Extreme Stress Test 결과

안정성은 아이폰 14 프로 맥스 76.7%에서 아이폰 15 프로 맥스 71.2%로 분명 감소함. 하지만 그래도 아이폰 15 프로 맥스의 낮은 점수가 2778점으로 아이폰 14 프로 맥스의 최저 점수인 2363점보다는 높음.

프레임도 11 ~ 31 FPS로 잘나올 때는 아이폰 14 프로 맥스보다 잘 나오고, 못 나올 때도 아이폰 14 프로 맥스보다 더 잘 나온다.

다만 이것은 발열 테스트를 거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좀 더 사용해봐야 알 수 있는 문제일 듯.

영상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IS0SItAzEXg
탕후루 에디션이라 놀림받는 아이폰 15 프로 맥스

내구성 테스트

티타늄 소재로 바뀌며 내구성이 더 안 좋아졌다는 유튜버 테스트 결과가 많다. 영상 출처는 사진 캡션에 올려뒀다. 스테인리스에서 바뀐 티타늄의 소재 문제는 아니고 정확히 따지면 원래 캔같이 날카로웠던 모서리 부분이 엣지처럼 부드럽게 곡선으로 변하면서 생긴 문제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음.

실제로 그립감이나 베젤 부분이 그로 인해 보완되기도 했고, 애플이 내구성 약화 부분은 분명히 인지를 했을테고 내구성보다는 사용성 측면을 더 강화한 듯 하다.

결론

당장 디자인과 색상, USB-C타입 전환은 많은 호평을 받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수면 아래의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는 만큼, 좀 더 한국 내 사용자들의 불편한 사용 후기들을 보는 것이 좋을 듯. 다행인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아이폰 구매는 10월 13일이라고 하니 , 그 때까지 많은 후기들이 올라올 듯.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