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숨기는 아이패드 프로 디스플레이 M4 칩 성능 보기

애플이 따로 언급하지 않은 아이패드 프로의 정보가 여기저기 퍼지고 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숨겨진 정보에 대해 알아보자

넘사벽 탠덤 OLED 디스플레이

LCD가 아닌 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면서 LCD와 차별화되는 완전 블랙 구현이 가능해졌다. 얇고 가벼워졌음.

갤럭시 OLED와도 차이가 있는데, Tandem OLED 탠덤 OLED라고 해서 업그레이드된 버젼의 OLED다. OLED는 번인이라는 단점이 있다. 파란빛은 특히 에너지가 커서 그런지 디스플레이 노화 속도가 빠름. 이런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애플이나 삼성은 태블릿의 밝기를 제한할 수 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최대한 많은 RGB를 디스플레이에 넣어서 픽셀 하나하나의 부담을 줄여줘야함. 그러나 공간 제한이 문제다.

새로운 아이패드 프로는 SDR, HDR 컨텐츠 상관없이 전체 화면 1000니트 밝기를 보여준다. HDR 컨텐츠에서는 최대 1600니트까지 밝아진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발광층을 위로 쌓았기 때문이다. 2층 구조로 형성하면서 같은 전기를 흘려줬을 때 탠덤 OLED의 발광층은 일반적인 OLED에 비해서 2배 밝게 된다. 두 개의 층이 부담을 나눠 가지기 때문에 번인 현상도 줄어든다.

이번 아이패드 프로는 최고의 디스플레이면서, 소비자가 접근할 수 있는 가격대 중에서 최고의 HDR 재현 능력을 갖고 있다

반사방지 코팅

아이패드 프로에 나노 텍스처 글래스 옵션이 도입됐다. 나노 텍스처 글래스는 표면을 거칠게 만들면서 반사율을 확 줄인다. 여기에 반사방지 코팅까지 추가되며 반사율이 극단적으로 낮아짐.

문제는 내구성이 야갛다. 관리가 까다롭다. 아무 천으로 닦으면 안 된다. 관리가 까다롭고 필름도 붙일 수 없어서 원치 않는다면 빼는 것 추천.

M4칩의 변화

M4 칩은 2세대 3나노미터 공정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 더 높은 성능
  • 더 낮은 전력 소모
  • 더 많은 트랜지스터

위 3가지 중 높은 성능과 낮은 전력 소모를 충족한 2세대 3나노 공정이다.

긱벤치6 싱글코어 점수는 3106 → 3656점으로 18% 성능 향상을 보였고, 성능 코어의 동작 속도도 9% 증가하였다. 성능 코어 동작 속도 증가율보다 싱글코어 증가율이 더 높은데, 그 이유는 AI 연산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초당 18조회에서 초당 38조회의 연산으로 2배 이상 향상됐다.

멀티코어 점수도 12038점 → 14512점으로 M3대비 21% 향상하면서 M4 칩이 얼마나 우수한지 증명됐다. 물론 위 점수들은 AI 연산 성능이 포함된 점수다. 아이패드 OS 18에 얼마나 많이 AI 연산이 포함되는지에 따라 M4 칩의 활용도가 달라질 듯. 만약 애플 소프트웨어가 AI 기능을 많이 활용하지 않으면 위 숫자만큼의 성능 향상은 체감하기 힘들 것이다.

결론

이번 아이패드 프로는 탠덤 OLED라는 기존 대비 훨씬 뛰어난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면서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정말 많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프로다운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그리고 M4 칩의 성능이 AI 연산을 이용해 대폭 향상되면서 아이패드 프로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볼 수 있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