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15 프로 맥스 쓰로틀링 성능 저하 티타늄 벗겨짐

아이폰 15 프로 맥스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이번에도 준수한 판매량을 자랑하지 않을까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의 새로운 시도 때문에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2가지 이슈에 대해 정리해보겠음

발열 쓰로틀링으로 인한 성능 저하 이슈

아이폰 15 프로 맥스는 전작 대비 업그레이드 된 A17 프로 칩을 탑재했다. 세계 최초로 TSMC 3nm 아키텍처 칩인데, 전작 4nm대비 크기가 줄어들었고 30% 이상 증가한 56억개의 트랜지스터 탑재로 성능과 효율성이 개선되었다고 함.

하지만 실제로 아이폰 15 프로 맥스를 사용한 해외에서는 발열이 너무 심하고, 생각보다 성능이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쿨링팬을 이용해 긱벤치6 측정했을 때 점수

먼저 긱벤치6 점수를 보면 전작대비 10% 이상 성능 개선이 보인다. 하지만 이는 쿨링팬을 이용해 긱벤치6 점수를 측정했을 때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 A17 긱벤치 점수

  • 싱글코어 : 2999점
  • 멀티코어 : 7779점

아이폰 14 프로 맥스 A16 긱벤치 점수

  • 싱글코어 : 2664점
  • 멀티코어 : 7141점

실제로 오래 사용하다보면 이만큼의 점수가 나오지 않는데, 왜냐하면 아이폰 15 프로만 하더라도 온도가 48도까지 오르기 때문이다. 발열까지 고려하면 7%의 성능 개선밖에 보이지 않음.

48도까지 오르는 아이폰 15 프로

아이폰 15 프로 48도 테스트

아이폰 15 프로 맥스를 이용해 게임을 하면 꽤 뜨거워서 사용이 힘들 정도라고 한다. 이렇게 발열 쓰로틀링이 심한 원인으로 TSMC 3nm 설계 문제와 애플의 냉각 솔루션 미비가 거론되고 있음. 예상 외로 TSMC 3nm가 성능 및 효율성 면에서 그렇게 좋진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반도체 크기가 작아지면 더욱 많은 트랜지스터를 탑재하면서 RC delay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발열과 전력 효율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음.

A17 칩 내부 소스코드 재탕?

칩 내부의 소스 코드도 충격적인데, A17 프로 칩이 A16 칩을 오버쿨럭한 것이란 주장도 있다. 내부 소스 코드를 봤을 때 어떠한 패턴이 보임

  • A15 칩은 H14 제목의 코드 사용
  • A16 칩은 H15 제목의 코드 사용
  • A17 칩은 H15 Coll 제목의 코드 사용

A17 칩의 소스코드 제목이 A16 칩과 동일한 H15 시리즈란 것이다. A17 프로 칩은 A16 칩을 오버쿨럭한 걸 TSMC 3nm 공정빨로 막아보려다가 망한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티타늄 소재 전환으로 인한 변색, 스크래치 이슈

애플은 아이폰 15 프로와 프로 맥스를 가볍게 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 티타늄으로 변경하였다. 덕부넹 여러 이슈가 발생하는 중

티타늄이 땀과 기름, 물을 만나 변색

티타늄 소재 변색

티타늄 소재 특성상 색을 입히는 것은 매우 힘들다. 그나마 애플이 PVD 공법을 이용해 색 코팅을 한 것인데, 이게 땀과 기름, 물을 만나면 벗겨진다. 그래서 아이폰 15 프로 맥스를 1주일만 사용하더라도 변색이 발생함. 케이스가 필수인 이유다

거기에 지문도 잘 남는 문제도 있음. 블루 티타늄같이 색이 입혀진 모델은 지문이 꽤 남는다. 다만 내추럴 티타늄은 색을 입히지 않은 것으로 보여 변색이 덜 함.

티타늄 소재 스크래치

스크래치도 문제다. 지난 갤럭시 워치6 시리즈 또한 티타늄 소재로 만들어졌는데 스크래치 이슈가 부각된 적이 있다. 아무래도 티타늄 소재의 한계로 보임. 잔 스크래치가 정말 잘 발생한다. 주방 세제로 문질문질하면 좀 없어지긴 하지만, 1~2년 사용하면서 얼마나 많은 잔 스크래치가 생길지 생각해보면…막막하다.

철제 다루는 회사에서 일합니다. 애플워치 알미늄은 스크레치가 너무 잘생겨서 애플워치 울트라로 바꾸었는데 스크레치가 더 심하게 생겨서 티타늄은 노답인거같습니다. ㅡ,.ㅡ

결론

A17이 성능 개선보다 전력 효율에 초점을 맞춘 칩셋이라고 했는데, 생각보다 성능 개선도 별로고 전력 효율도 별로라서 기대 이하다.

아무리 아이폰에 케이스를 씌운다고 하더라도 1주일만에 변색이 생기고, 잔 스크래치가 생기면 정말 마음이 아플 듯…이래저래 아이폰 15 프로 시리즈의 이런 이슈가 잠재워질지…개인적으로 하드웨어의 문제라서 쉽게 없어지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 티타늄 벗겨짐 원인이 뭔가요?

티타늄 소재는 색을 입힐 수 없는 소재인데 PVD 코팅으로 색을 입히다보니, 땀과 기름 물에 의해 색이 벗겨지고 변색되는 것입니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 스크래치에 약한 이유가 뭔가요?

아무래도 코팅을 통해 색을 입히다보니 약한 코팅이 날카로운 물질에 벗겨지는 것입니다. 내추럴 티타늄 색상 같이 아무런 코팅이 없다면 스크래치와 티타늄 변색에 강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 15 A17 프로 칩 성능 개선은 얼마나 되나요?

외부 쿨링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10~20% 의 싱글코어, 멀티코어 점수 개선이 보이지만, 발열 쓰로틀링으로 인해 48도까지 오르면 한 자릿수의 개선으로 그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